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PostgreSQL과 PostGIS 설치 방법을 학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greSQL(포스트그레스큐엘)은 오픈소스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open source object-relational database system)입니다.
PostgreSQL 공식 홈페이지: https://www.postgresql.org/
PostgreSQL 공식 홈페이지에서 Download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운영체제별로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Windows 10 Pro를 쓰고 있어서 Windows installers를 선택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PostgreSQL은 각각 EnterpriseDB와 BigSQL에서 제공하는 인스톨러가 있습니다.
EnterpriseDB 버전은 Visual C++ 컴파일러를, BigSQL 버전은 GCC(GNU Compiler Collection, 그누 컴파일러 모음)를 기반으로 합니다.
저는 EnterpriseDB에서 제공하는 PostgreSQL을 선택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버전과 운영체제를 선택하는데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버전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PostgreSQL 9.6 버전부터는 pgAdmin 4, 9.5 버전은 pgAdmin 3가 적용됩니다.
pgAdmin은 PostgreSQL을 위한 오픈소스 관리개발 플랫폼(Open Source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platform for PostgreSQL)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pgadmin.org/
저는 아래와 같이 PostgreSQL 9.5.6 버전을 선택하였습니다. 이제 운영체제도 선택하고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참고로, pgAdmin 4부터는 대시보드가 제공되며, 각 그래프의 업데이트 주기가 1초 단위로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9.6 버전을 설치하시는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https://www.pgadmin.org/faq.php
자, 이제 PostgreSQL을 설치해볼까요?!
PostgreSQL과 데이터가 설치되는 기본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슈퍼유저(superuser)를 위한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서버가 수신할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 PostgreSQL은 기본 포트로 5432를 씁니다.
언어 설정인데요, [Default locale]로 그대로 두시면 운영체제의 언어를 자동 선택합니다.
이제 PostgreSQL을 설치합니다.
PostgreSQL 설치가 완료되면 Stack Builder 실행을 묻습니다.
Stack Builder는 PostgreSQL을 보완하는 부가적인 도구,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데 이용됩니다.
여기서는 PostGIS를 설치해야 하므로, Stack Builder를 이어서 실행합니다.
PostGIS는 PostgreSQL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확장자(spatial database extender for PostgreSQL)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http://postgis.net/
아래 그림처럼, QGIS에서도 PostGIS 레이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ck Builder에서 Spatial Extensions 하부의 PostGIS를 선택합니다.
이후 설치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PostGIS까지 설치를 마쳤습니다. PostgreSQL을 한 번 실행해볼까요?!
아래와 같이 PostGIS와 PostgreSQL이 제대로 설치된 상태이구요, PostgreSQL 9.5 > pgAdmin Ⅲ를 클릭해 보겠습니다.
pgAdmin Ⅲ가 아래와 같이 실행되었습니다. PostgreSQL 9.5를 더블클릭해 보겠습니다.
설치할 때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PostgreSQL 9.5이 활성화되었습니다. 이제 저도 PostGIS를 학습해 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