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지형분석, Elevation 플러그인을 학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실습자료를 얻기 위해 아래 주소로 접속합니다.
국토정보플랫폼 공식 홈페이지: http://map.ngii.go.kr/mn/mainPage.do
'하늘공원'을 검색하고 해당 지역의 정사영상을 선택합니다.
마찬가지로 해당지역을 포함하는 공개DEM을 선택합니다.
정사영상과 공개DEM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Manage Layers Toolbar에서 '래스터 레이어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다운로드 받은 정사영상과 공개DEM을 추가해 줍니다:
- 정사영상
- 공개DEM
자, 먼저 공개DEM을 이용하여 지형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상단 메뉴에서 '래스터 > 분석 > DEM (지형 모델)'을 선택합니다.
'DEM (지형 모델)' 창에서 모드 선택을 통해 원하는 지형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데요, 일단 '음영기복'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음영기복 결과가 생성되었는데요, 레이어 속성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투명도를 50%로 조정하면,
음영기복과 DEM이 보다 효과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번엔 DEM에 스타일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설정 > 스타일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스타일 관리자 창에서 '색상표' 탭을 선택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 버튼 클릭 후, 'cpt-도시'를 선택해 줍니다.
cpt-city 색상표에서 elevation을 선택하고 '표준 그래디언트로 저장'을 체크합니다.
색상표 이름을 입력하고,
DEM 속성 스타일에 위 색상표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자, 아래와 같이 음영기복과 DEM이 함께 효과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이번에는 DEM (지형 모델)의 모드를 '경사'로 선택하고 실행해 보겠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모드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요,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음영기복
- 경사
- 경사 방향
- 색상 기복
- TRI (지형 기복 지표)
- TPI (위상적 위치 지표)
- 거칠기
만약 DEM이 없다면 특정 지역의 고도값을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된 기능을 학습해 보겠습니다.
바로 Elevation 플러그인인데요, Google Maps API를 이용하여 고도 점을 취득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Obtain Elevation' 버튼을 클릭하고,
내가 원하는 위치를 클릭하면 해당 지점의 고도값과 Google 지도 창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또한 고도점 정보는 신규 생성된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에 자동 갱신되는데요,
아래와 같이 Elevation Plugin Results 파일 내 elevation 컬럼에 저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