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시각적 모델러와 공간처리 툴박스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먼저, 앞서 실습한 3개 레이어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서울시 도서관 위치정보 포인트: Library.shp
서울시 작은 도서관 위치정보 포인트: Small_Library.shp
서울시 법정구역정보(읍면동) 폴리곤: Seoul_EMD.shp
이전 실습에서는 '폴리곤의 점' 기능을 2번 실행해서 서울시 법정구역별 도서관, 작은 도서관 개수를 컬럼으로 추가했었습니다.
이렇게 반복적 실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시각적 모델러는 이러한 작업흐름을 모델로 쉽게 만들 수 있는 툴입니다.
시각적 모델러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공간처리 > 시각적 모델러'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공간처리 모델러' 창이 실행됩니다. 화면 하단 탭은 입력과 알고리즘으로 구분됩니다.
먼저 입력 탭에서 매개 변수를 추가합니다. 여기서는 Vector layer를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Input Polygon을 정의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Input Polygon 파라미터가 추가되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Input Point1, Input Point2 파라미터를 추가합니다.
이번에는 알고리즘 탭에 가서 '폴리곤의 점'에 해당하는 'Count points in polygon'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해 보겠습니다.
이제 모델러에서 파라미터와 알고리즘이 서로 연결되었습니다. 즉, 작업흐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폴리곤의 점' 알고리즘을 하나 더 추가하겠습니다.
이제 파라미터와 알고리즘들이 하나의 모델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룹과 모델 이름을 각각 MyGroup, MyModel로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MyModel.model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제 '공간처리 > 툴박스'를 실행하고,
공간처리 툴박스에서 '모델 > MyGroup > MyModel'을 클릭하면,
앞서 시각적 모델러를 통해 설계한 MyModel이 아래와 같이 실행됩니다.
한 번 실행해볼까요?!
아래와 같이 법정구역정보 폴리곤의 속성 테이블에 NUMPOINTS1, NUMPOINTS2 필드가 생성되었습니다. 정말 유용한 도구죠?!
공간처리 툴박스에는 GDAL/OGR, GRASS GIS 7 commands, QGIS geoalgorithms, SAGA와 같은 다양한 툴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Orfeo Toolbox, R scripts, TauDEM, Tools for LiDAR data 등을 추가 설치할 수 있는데요, R scripts를 한 번 등록해 보겠습니다.
먼저, 내 컴퓨터에 R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R 설치 여부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R을 입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R이 설치되었다면 '공간처리 > 옵션'을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R scripts 관련 설정들을 적용합니다.
이제 공간처리 툴박스에 R scripts가 추가되었는데요, Get R scripts from on-line scripts collection을 클릭합니다.
'스크립트와 모델 얻기' 창에서 '설치 안 됨'을 선택하고,
설치 안 됨 목록 중 원하는 항목을 체크합니다. 여기서는 전체를 다 설치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R scripts에 59개 geoalgorithms이 추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