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QGIS 2.18에서 온도지도(Heatmap)를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습 데이터는 슬로베니아 불곰 추적 데이터로 데이터 출처는 아래 글에서 소개드렸습니다.
무브뱅크(Movebank)에서 동물 추적 데이터 다운로드하기 | http://blog.daum.net/geoscience/1288
현재 이 레이어는 경위도 좌표계로 정의되어 있는데요, 이것을 투영 좌표계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투영 좌표계 정보는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을 보시면 utm_zone 필드에 33N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레이어를 우클릭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 이름으로 벡터 레이어 저장하기' 창이 실행됩니다.
좌표계 콤보박스 우측에 위치한 'CRS 선택' 아이콘을 클릭하고 필터에 '33N'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세계의 좌표계 목록에서 'WGS 84 / UTM zone 33N (EPSG: 32633)'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File name과 좌표계를 지정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레이어 패널에 'points_33n' 레이어가 추가되었는데요, 이 레이어 명을 우클릭하고
'복제하기' 버튼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복제 레이어에 온도지도 스타일을 적용해 보려고 합니다.
자, 'points_33n_복사' 레이어 명의 속성에 들어가서,
레이어 속성 창에서 '스타일 탭'을 선택합니다.
'Single symbol'을 '온도지도'로 변경하고,
적절한 그래디언트 색상표를 선택해 주겠습니다.
색상표의 좌우 방향을 바꾸려면 '뒤집기'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편집' 버튼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그래디언트 색상표 창이 실행되는데요, 낮은 값(여기서는 녹색)을 선택하고 불투명도를 0%로 적용하겠습니다.
자, 온도지도 스타일을 적용한 레이어를 확인해 볼까요?!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번에는 points_33n 레이어에 라벨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속성에서 라벨 탭을 선택하고 콤보박스를 'Show labels for this layer'로 변경합니다.
'Label with' 콤보박스에서는 불곰 이름이 저장된 'tag_ident' 필드를 선택해 주겠습니다. 저는 하단 텍스트 글꼴을 'Arial'으로도 변경하였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번에는 1:25,000 이상으로 지도가 확대되었을 때만 라벨이 표출되도록 규칙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다시 '레이어 속성 > 라벨'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Rule-based labeling'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규칙을 추가, 편집, 삭제할 수 있는 창이 표현되는데요,
여기서 '규칙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규칙 편집' 창에서 스케일 범위를 활성화한 후, Minimum (exclusive)를 1:25,000으로 설정해 줍니다. 라벨 설정은 기존과 같이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자, 이제 결과를 살펴볼까요?!
다음과 같이 라벨이 보이지 않다가,
1:25:000 이상 대축척으로 확대하면 라벨이 표현됩니다. 이렇게 규칙을 적용하면 라벨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온도지도 래스터 생성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상단 메뉴에서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클릭하고 '설치됨' 탭에서 '온도지도'를 체크해 줍니다.
'래스터 > 온도지도 > 온도지도'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온도지도 플러그인' 창이 실행되는데요, 출력 래스터와 반지름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해당 레이어의 속성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앞서 온도지도 스타일 레이어처럼 색상을 조정해 보겠습니다.
일단 렌더(Render) 유형을 '단일 밴드 가상색채'로 변경하고,
그래디언트 색상표, 뒤집기를 설정하고 '분류' 버튼을 클릭합니다.
스타일 적용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까지 QGIS에서 온도지도 사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