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QGIS 3.4의 래스터 지형 분석 기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줄여서 DEM) 데이터는 지형 분석을 통해
부가적인 래스터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데요, 단계별로 직접 결과물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습을 위한 DEM 데이터는 아래 글에서 확보한 슬로베니아 일원의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QGIS 3.4에서 SRTM Downloader 플러그인 사용하기 | http://blog.daum.net/geoscience/1298
현재 실습 데이터의 좌표계는 EPSG:4326으로 정의되어 있는데요, 이 지리좌표계를
투영좌표계로 변환하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래스터 > 투영 > 워프(재투영)'을 실행합니다.
왜 좌표계를 변환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QGIS의 지형 분석 기능은 GDAL의 gdaldem
유틸리티를 이용한 것입니다. gdaldem의 안내를 보시면 그 이유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GDAL: gdaldem | https://www.gdal.org/gdaldem.html
gdaldem은 일반적으로 x, y, z 단위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지만 지리좌표계를 사용할 경우
x, y는 도(degrees), z는 미터(meters) 단위를 갖게 되므로 이에 대한 축척을 적용해야 합니다.
적도 근처 위치에서는 1도에 해당하는 거리를 111,120m (즉, scale=111120)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도 근처가 아닌 위치에서는 gdaldem을 사용하기 전에 gdalwarp로 재투영을 해줘야 합니다.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될 만한 이미지를 소개 드립니다. 하단에 출처를 표기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e-education.psu.edu/geog160/node/1918
[이미지 출처] http://www.ga.gov.au/cocky/distance.jsp
[이미지 출처] https://www.ibm.com/support/knowledgecenter/en/SSEPEK_11.0.0/spatl/src/tpc/spatl_csb3022a.html
자, 그럼 '래스터 > 투영 > 워프(재투영)'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 레이어를 지정하고,
대상 좌표계를 아래와 같이 WGS 84 / UTM zone 33N(EPSG: 32633)으로 정의하겠습니다.
산출 밴드 용 NODATA 값은 0으로 설정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재투영될 때 발생되는 0값 영역이 NODATA로 인식됩니다.
자, 이제 아래와 같이 워프(재투영)을 실행해볼까요?!
아래와 같이 SRTM 레이어가 재투영되었습니다.
OpenStreetMap XYZ Tile을 중첩(아래 글 참조)해 본 화면입니다.
QGIS 3.4에서 Vworld 지도서비스 이용하기 | http://blog.daum.net/geoscience/1295
자, 이제 래스터 지형 분석 기능을 살펴 보겠습니다. 실행은 상단 메뉴에서 '래스터 > 분석' 하부 기능을 선택하거나,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래스터 지형 분석' 하부 기능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Raster terrain analysis | https://docs.qgis.org/testing/en/docs/user_manual/processing_algs/qgis/rasterterrainanalysis.html
[1] 경사 방향(Aspect): 북쪽 방향을 0으로 시작해서 시계 방향으로 도(degrees) 단위로 경사 방향을 계산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docs.qgis.org/testing/en/_images/aspect.png
아래 '경사 방향' 창에서 Z 비율은 수직 과장(Vertical exaggeration) 값입니다.
[2] 경사도(Slope): 각 셀에 대한 경사도를 도(degrees) 단위로 계산합니다.
[3] 기복(Relief): 기복(고저) 색상을 직접 설정하거나, 알고리즘 기반으로 기복 클래스를 자동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음영기복도(Hillshade): 음영기복도에서 음영(shading)은 태양 위치에 따라 계산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docs.qgis.org/testing/en/_images/azimuth.png
음영기복도는 아래와 같이 태양의 수평각(방위각)과 수직각(태양고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값은 horizontal angle (azimuth)이 300, vertical angle(sun elevation)이 40입니다.
음영기복도는 0(최대 일영)부터 255(최대 일조)까지 밝기값을 가집니다. 음영기복도는 보통 지역 기복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사용됩니다.
[5] 험상 지수(Topographic Ruggedness Index, TRI): 지형 이질성의 정량적 측정을 계산을 계산하며 Riley et al. (1999)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
Riley, S. J., S. D. DeGloria and R. Elliot (1999). A terrain ruggedness index that
quantifies topographic heterogeneity, Intermountain Journal of Sciences, vol. 5, No. 1-4,1999.
각 화소는 3×3 화소 내에 고도 변화를 요약하여 계산하며, 그 값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 Terrain Ruggedness Index (TRI) Categories (from Riley et al. [102]).](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2661635/figure/tbl1/AS:613898642284562@1523376250633/Terrain-Ruggedness-Index-TRI-Categories-from-Riley-et-al-10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