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격자를 생성한 후 구역 통계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격자 생성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치해볼 텐데요,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클릭하고,
mmqgis를 설치해 봅니다.
'MMQGIS > Create > Create Grid Layer'를 실행하고,
Grid 창에서,
Geometry Type 중 'Rectangles'를 선택합니다.
Extent 중 'Layer Extent'를 선택하고 Layer는 공원 경계 레이어를 지정해 줍니다.
격자 간격은 250m로 지정해 주겠습니다.
이제 Grid 창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공원경계를 아우르는 격자가 생성됩니다.
격자 중 공원경계와 중첩되는 객체만 선택해볼까요?! '벡터 > 조사 도구 > 위치로 선택'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격자와 공원 경계가 중첩되는 영역을 선택해 줍니다.
이 상태에서 격자 레이어를 우클릭한 후 '내보내기 > 선택한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합니다.
'벡터 레이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을 실행하고 선택된 객체를 새 파일로 생성합니다.
자, 이제 이 격자를 기준으로 구역 통계를 계산해 볼까요?!
'래스터 분석 > 구역 통계' 도구를 실행합니다.
구역 통계 창은 아래와 같습니다.
래스터 레이어는 잘라낸 DEM을 지정하고, 구역(zone)을 담고 있는 벡터 레이어는 격자를 선택해 줍니다.
계산할 통계에서 아래와 같이 평균, 중앙값, 표준 편차, 최소, 최대 값을 체크해 줍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값을 심볼에 반영하여 지도화해 볼까요?!
'단계 구분'을 선택하고,
열 필드는 'SRTM_mean'을 선택해 봅니다.
분류는 '내추럴 브레이크 (Jenks)'를 선택해볼까요?!
적용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히스토그램 탭을 보시면 DEM 평균 값의 분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