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KNPS-ES for QGIS의 토양유실예측모형 중 식생피복인자(C)를 계산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KNPS-ES for QGIS는 'QGIS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도구'로 현재 v0.3.0은 서식지 질 모형, 탄소 모형, 토양 유실 예측 모형을 일부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치방법은 QGIS에서 공간 처리 툴박스 중 아래 '옵션'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 '모델 폴더'에서 우측 '탐색(…)' 버튼을 클릭하고,
깃허브에서 내려받은 KNPS-ES_v0.3.zip 파일을 압축 해제한 후 해당 폴더를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공간처리 툴박스에 아래와 같이 모형들이 추가됩니다.
이 글에서 살펴볼 '토양 유실 예측 모형'은 환경부 환경부고시 제2019-140호(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별표 1] 표토의 침식량 산정 방법'을 확인해 봅니다.
표토침식량 계산은 토양 유실 예측 모형(Un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공식을 따르며, 연평균 토양 유실량, 강우인자, 토양침식성인자, 경사인자, 식생피복인자, 보전관리인자들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중 식생피복인자(C) 값은 조사 대상 지역의 토지 이용 현황에 따라 아래 표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산림, 과수원, 논, 초지, 밭 순으로 토양 유실 방지에 기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토지 이용 정의를 위한 토지피복지도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토지피복지도는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로 구분됩니다.
토지피복지도 작성 지침은 환경부훈령 제1317호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의 경우, 해상도 1M급에 평균 95% 이상 분류정확도로 41개 항목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실습을 위해 월출산국립공원 지역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레이어 추가하였습니다.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코드별 색상표준을 적용해 봅니다. 레이어명을 더블클릭해서 '레이어 속성' 창을 실행하고,
창 하단의 '스타일 불러오기'를 클릭하고,
'데이터베이스 스타일 관리자' 창에서,
파일 우측 '탐색' 버튼을 클릭한 후,
KNPS-ES 모형 폴더에서 'QGIS_SLCM_STYLE.qml'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이제 '스타일 불러오기' 창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분류코드별 색상표준이 적용됩니다.
스타일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타일은 적용되었으니 속성 테이블을 열어보겠습니다. 필드 중 'L3_CODE'는 분류코드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아래 KNPS-ES 모형에서 'L3_USLE_C.xlsx' 파일을 레이어 추가하겠습니다.
이 파일은 분류코드별 식생피복인자(C) 값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일의 속성 테이블은 아래와 같은데요, 토지피복지도와 마찬가지로 'L3_CODE' 필드가 있고 'USLE_C' 필드에 식생피복인자(C) 값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토지피복지도의 L3_CODE와 속성으로 조인한 후 USLE_C 값을 기준으로 래스터 파일을 생성하면, 우리가 필요한 식생피복인자(C) 값이 될 것입니다.
자, 그럼 식생피복인자(C)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식생피복인자(C) 계산'을 실행합니다.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식생피복인자(C) 테이블을 아래와 같이 지정한 후, 토지피복인자(C) 출력 경로/이름을 지정합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수의 토지피복지도로부터 C값을 계산해야 하는 경우, 실행 창 하단의 '배치 프로세스로 실행' 버튼을 클릭한 후 작업하시면 됩니다(배치 프로세스 관련 글: blog.daum.net/geoscience/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