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네번째 글로 dNBR과 임상도(1:5000) 교차 영역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dNBR을 레이어 추가합니다.
dNBR을 벡터로 변환한 후, 일부 영역을 제거해 보겠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 > GDAL > 래스터 변환 > 폴리곤화(래스터를 벡터로)'를 실행합니다.
'편집 모드 켜고끄기' 버튼을 클릭한 후,
'표현식으로 객체 선택'을 클릭하고 "DN" in (-1, 0)을 표현식으로 해서 '산불 후 재성장(-1), 산불피해 없음(0)' 영역을 선택해 줍니다.
'선택 삭제'를 클릭해서 해당 객체를 삭제합니다.
다시 '객체(들) 선택'으로 강릉 옥계-동해 산불 객체들만 선택한 후,
'객체 선택 반전'을 클릭해서 선택된 객체를 삭제해 줍니다.
'편집 모드 켜고끄기'를 다시 클릭해서 편집을 마무리합니다.
다음으로 '공간 처리 툴박스 > 벡터 도형 > 도형 수정'을 실행합니다.
자, 이제 dNBR 벡터 전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으로 해당 지역의 임상도(1:5000)를 불러옵니다.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dNBR과 임상도 교차 영역을 추출해 보겠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 > 벡터 중첩 > 교차 영역'을 실행합니다.
입력 레이어는 dNBR, 중첩 레이어는 임상도를 선택하고 아래 '유지할 입력/중첩 필드'를 실행합니다.
'유지할 입력 필드'는 dNBR 중 'DN(USGS분류코드)' 필드를,
유지할 중첩 필드'STORUNST(입목존재코드)', 'FROR_CD(임종코드)', 'FRTP_CD(임상코드)', 'KOFTR_GROU(수종그룹코드)', 'DMCLS_CD(경급코드)', 'AGCLS_CD(영급코드)', 'DNST_CD(밀도코드)', 'HEIGHT(임분고코드)' 필드를 체크해 줍니다.
자, 이제 교차 영역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교차 영역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임상코드' 스타일을 적용해 본 결과로 침염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죽림, 무립목지/비산림으로 구분됩니다. 육안판독 상으로는 침엽수림이 대부분인데 정확한 피해면적을 산출하려면 공간통계를 산출해 봐야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임상도를 이용한 산불피해 공간통계를 산출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