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네번째 글로 dNBR과 임상도(1:5000) 교차 영역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3) - 피해면적 산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세번째 글로 dNBR로부터 산불피해 면적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log.daum.net
먼저, dNBR을 레이어 추가합니다.
dNBR을 벡터로 변환한 후, 일부 영역을 제거해 보겠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 > GDAL > 래스터 변환 > 폴리곤화(래스터를 벡터로)'를 실행합니다.
'편집 모드 켜고끄기' 버튼을 클릭한 후,
'표현식으로 객체 선택'을 클릭하고 "DN" in (-1, 0)을 표현식으로 해서 '산불 후 재성장(-1), 산불피해 없음(0)' 영역을 선택해 줍니다.
'선택 삭제'를 클릭해서 해당 객체를 삭제합니다.
다시 '객체(들) 선택'으로 강릉 옥계-동해 산불 객체들만 선택한 후,
'객체 선택 반전'을 클릭해서 선택된 객체를 삭제해 줍니다.
'편집 모드 켜고끄기'를 다시 클릭해서 편집을 마무리합니다.
다음으로 '공간 처리 툴박스 > 벡터 도형 > 도형 수정'을 실행합니다.
자, 이제 dNBR 벡터 전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으로 해당 지역의 임상도(1:5000)를 불러옵니다. 관련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상도(1:5000) QGIS 스타일 파일(*.qml) 공유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임상도(1:5000) QGIS 스타일 파일(*.qml)을 공유 드려 봅니다. 임상도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공유해드린 파일을 통해 스타일링을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도는 우리나라 국
blog.daum.net
이제 dNBR과 임상도 교차 영역을 추출해 보겠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 > 벡터 중첩 > 교차 영역'을 실행합니다.
입력 레이어는 dNBR, 중첩 레이어는 임상도를 선택하고 아래 '유지할 입력/중첩 필드'를 실행합니다.
'유지할 입력 필드'는 dNBR 중 'DN(USGS분류코드)' 필드를,
유지할 중첩 필드'STORUNST(입목존재코드)', 'FROR_CD(임종코드)', 'FRTP_CD(임상코드)', 'KOFTR_GROU(수종그룹코드)', 'DMCLS_CD(경급코드)', 'AGCLS_CD(영급코드)', 'DNST_CD(밀도코드)', 'HEIGHT(임분고코드)' 필드를 체크해 줍니다.
자, 이제 교차 영역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교차 영역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임상코드' 스타일을 적용해 본 결과로 침염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죽림, 무립목지/비산림으로 구분됩니다. 육안판독 상으로는 침엽수림이 대부분인데 정확한 피해면적을 산출하려면 공간통계를 산출해 봐야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임상도를 이용한 산불피해 공간통계를 산출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