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CMCC-BioClimInd: 생물기후 지표의 글로벌 데이터셋 소개

유병혁 2023. 1. 27. 23:29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생물기후 지표의 글로벌 데이터셋 중 하나인 CCMC-BioClimInd 데이터셋을 소개해 보겠습니다.(논문 바로가기: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7-020-00726-5).

 

종 분포 모델링(SDM: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과 같이, 현재 및 미래 서식지를 재현하고 예측하려면 데이터의 최신성과 정확성을 확보한 생물기후 지표 데이터셋이 필요할 것입니다. CMCC-BioClimInd는 과거 및 미래 조건에 대한 생물기후 지표를 0.5° x 0.5° 해상도로 제공하는 데이터셋입니다.

 

여기서 CMCC는 이탈리아에 위치한 유럽지중해 기후변화센터(Centro Euro-Mediterraneo sui Cambiamenti Climatici를 지시하며 BioClimInd는 머신러닝에서 설명변수로 쓰이게 될 생물기후 지표(bioclimatic indicators)를 의미합니다. 데이터셋은 아래 웹페이지에서 바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ce, S et al. (2019): CMCC-BioClimInd. A new globaldataset of bioclimatic indicators

Data

doi.pangaea.de

CCMC-BioClimInd은 WFD가 제공하는 기온과 강수량의 일일 시계열을 기반으로 정교화된 데이터셋입니다. WFD는 WATCH(WATer and global CHange) Forcing Data의 약어로 1901-2001년, 즉 20세기의 전세계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ATer and global CHange (WATCH) Forcing Data (WFD) - 20th Century - EIDC

Weedon, G.P., Gomes, S., Viterbo, P., Shuttleworth, W.J., Blyth, E., Österle, H. , Adam, J.C., Bellouin, N., Boucher, O. & Best, M. (2011). Creation of the WATCH Forcing Data and Its Use to Assess Global and Regional Reference Crop Evaporation over Land d

catalogue.ceh.ac.uk

생물기후 지표(bioclimatic indicators)

BioClimInd 데이터셋은 35개 생물기후 지표를 제공합니다. 생물기후 지표 코드, 전체 이름, 단위, 참고문헌 및 입력 변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입력 변수는 Tg, Tx, Tn, P를 사용하며 다음을 뜻합니다. *아래 표에서 References는 원문을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Tg: 일 평균 기온(daily mean temperature)
  • Tx: 일 최고 기온(daily maximum temperature)
  • Tn: 일 최저 기온(daily minimum temperature)
  • P: 일 강수량(daily precipitation amount)

출처: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7-020-00726-5

CCMC-BioClimInd의 생물기후 지표는 다음과 같이 zip 파일로 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BIO.zip 파일을 내려받아 압축을 해제해 보겠습니다.

압축 해제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수 파일이 제공되고 있는데요, CCMC-BioClimInd 명명 규칙(naming convention)을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파일 이름은 생물기후 지표 코드, 데이터소스, RCP, 기간(시작 연도 4자리, 종료 연도 4자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BIO1_CMCC_85_2040_79.nc'는 생물기후 지표 코드 BIO1, 데이터 소스 CMCC, RCP 8.5, 기간은 2040년부터 2079년에 해당합니다. 파일 이름에 쓰이는 데이터 소스의 약어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7-020-00726-5

기후 모델(climate model)

데이터 소스는 기후 모델(climate model)입니다. 제공되는 기후 모델의 약어를 정리해 봤습니다.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CMCC-CESM Centro Euro-Mediterraneo sui Cambiamenti(CMCC)-Climatici-Community Earth System Model(CESM) 이탈리아 유럽지중해 기후변화센터(CMCC)-커뮤니티 지구 시스템 모델(CESM)
GFDL-ESM2M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GFDL)-Earth System Model 2 with Modular Ocean Model(ESM2M)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지구물리유체역학연구소(GFDL)-모듈식 해양 모델을 사용한 지구 시스템 모델 2(ESM2M)
HadGEM2-ES Hadley Global Environment Model 2-Earth System(HadGEM2-ES) 영국 기상청 하들리 연구소(Met Office Hadley Centre)-하들리 글로벌 환경 모델 2-지구 시스템(HadGEM2-ES)
IPSL-CM5A-LR Institut Pierre-Simon Laplace(IPSL)-Climate Model(CM)5A-Low Resolution(LR) 프랑스 피에르-시몬 라플라스 연구소(IPSL)-기후 모델 5A(CM5A)-저해상도(LR)
MIROC-ESM-CHEM An atmospheric chemistry coupled version of Model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limate-Earth System Model(MIROC-ESM-CHEM) 일본 MIROC 컨소시엄(JAMSTEC, AORI, NIES, RCCS)-대기화학이 접합된 MIROC-ESM 모델(MIROC-ESM-CHEM)
NorESM1-M Norwegian Earth System Model1-M(NorESM1-M) 노르웨이 기후센터(Norwegian Climate Centre) 지구시스템 모델 1-M

 

RCP(대표 농도 경로)

RCP는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대표 농도 경로)의 약어입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AR4, 2007)에 사용한 SRES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대체하여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2013)에서 사용한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입니다. RCP 시나리오는 최근 온실가스 농도변화 반영 및 최근 예측모델에 맞게 해상도 등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SRES와 RCP의 비교는 '국가기후위기적응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음 표를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출처: https://kaccc.kei.re.kr/portal/climateChange/changeview/changeview_view.do?num=6

RCP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총 4종으로 구성되며 이 글에서 소개하는 생물기후 지표는 RCP 4.5, RCP 8.5 온실가스 시나리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CP 4.5는 21세기말(2070~2099년)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540ppm에 달하여 전 지구 2.8℃ 기온 상승과 4.5% 강수량 증가가 전망되고 RCP 8.5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940ppm에 도달하여 전 지구 4.8℃ 기온 상승과 6.0% 강수량 증가가 전망됩니다. *참고로 ppm(parts per million)은 100만 분의 1을 나타내는 무차원 단위이며, 무게 또는 부피에 사용합니다(예: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540ppm=0.054%)

앞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제 명명규칙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QGIS를 실행하고 위 파일(BIO1_CMCC_85_2040_79.nc)을 한번 열어보겠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반도 영역을 확대해 본 화면입니다. CCMC-BioClimInd 데이터셋은 0.5° x 0.5° 해상도(적도 기준으로 약 55 x 55 ㎞)입니다. 또다른 생물기후 지표 데이터셋으로 선호되는 WorldClim의 경우 해상도는 30초(~1㎢)부터 10분(~340㎢)까지 다양합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적합한 생물기후 지표 데이터셋을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