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GIS에서 종단면을 분석할 수 있는 Profile tool 플러그인을 학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월악산국립공원 탐방로와 수치표고모델 데이터를 열어 보겠습니다.
탐방로 데이터를 열기 위해 아래 '벡터 레이어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벡터 레이어 추가에서 탐색 버튼을 클릭하여 탐방로 라인(PMNTN_LN)과 분기점 데이터(PMNTN_ND)를 열어 봅니다.
수치표고모델 데이터를 열어보기 위해 아래 '래스터 레이어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월악산국립공원 ASTER GDEM Ver.2 데이터를 열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학습을 위한 모든 데이터가 추가되었습니다.
레이어 목록을 아래와 같이 조정하여, 탐방로 분기점 > 탐방로 라인 > 고도 래스터 순으로 정렬해 줍니다.
추가된 데이터에서 탐방로 분기점과 라인은 WGS 84 지리좌표계로, 고도 래스터는 WGS 84 / UTM zone 52N 투영좌표계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프로젝트 좌표계를 WGS 84 / UTM zone 52N으로 정의하기 위해 화면 하단에서
아래 프로젝트 속성 버튼을 클릭하고,
WGS 84 / UTM zone 52N을 지정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번에는 고도 래스터를 기반으로 기복도를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래스터 > 지형 분석 > 기복(Relief)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은 기복 창에서 높이값 레이어에 고도 래스터를 지정하고,
출력 레이어를 설정하고 자동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분류 결과를 확인한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작된 기복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으로 탐방로 분기점과 탐방로 라인 데이터의 스타일과 라벨을 아래와 같이 지정합니다.
이제 분석을 위한 데이터 추가와 설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본격적으로 종단면 분석을 위하여 Profile tool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클릭하고,
플러그인 관리자 창에서 더 찾기 탭을 선택하고 profile 키워드를 검색하여 조회된 Profile tool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플러그인 설치 성공이 표시됩니다.
해당 플러그인 설치는 플러그인 > Profile Tool > Terrain profile 버튼을 클릭하거나
메뉴 바에 추가된 아래 Terrain profile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레이어 창에서 종단면 분석을 위한 래스터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메시지 창이 표시됩니다.
레이어 창에서 월악산국립공원 고도 래스터를 선택한 후, Terrain profile 창을 다시 실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Profile Tool 창이 지도화면 하단에 표시됩니다.
이 상태에서 다시 Terrain profile 아이콘을 클릭하면 마우스포인터가 십자형으로 표시됩니다.
이 상태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구간을 클릭하면 Profile Tool 창에서 해당 구간의 종단면이 분석되어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구간을 직접 지정하지 않고 별도의 라인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Selection을 Selected polyline으로 변경하고,
Terrain profile 아이콘을 클릭한 후,
분석하고자 하는 라인을 클릭하면 해당 라인에 대한 종단면이 분석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Profile tool을 이용하여 탐방로의 고도변화에 대한 종단면 분석이 가능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