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at 영상에서 산림화소를 자동추출하기 위한 TDA 절차 재현을 위해, 연구지역과 Landsat 영상을 선택하겠습니다.
먼저 연구지역은 산악형 국립공원 중 가장 면적이 넓은 지리산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지역의 영역은 국립공원 경계를 기준으로 완충구간을 15km까지 설정한 사각영역으로 합니다. 15km는 완충구간의 공간통계분석을 위해서입니다.
Landsat 영상은 향후 연구에는 시계열 스택이 필요하나 TDA 절차는 단시기 영상으로 검증이 가능하므로, 1991년 8월 28일 Landsat 5 영상으로 준비하였습니다.
그럼 영상 취득시기는 어떻게 정할 것인가? 이와 관련하여 Huang et al.(2009)은 아래와 같이 시기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모든 선택된 영상은 식물의 발육시기 동안 취득되었다. 발육시기는 중-고 위도 지역에서는 6월 중순과 9월 중순 사이에 정의되었으나,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는 5월과 10월을 포함하도록 여유를 두었다. 낙엽시기 또는 인접한 시기에 취득된 영상들은 낙엽림과 교란된 산림지 사이 분광학적 혼동 때문에 고려되지 않았다. 낙엽시기 영상들은 일반적으로 토지피복변화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