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지도 2.0 NGI 포맷을 SHP 포맷으로 변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GI 포맷은 QGIS에서 열리지 않습니다.
포맷 변환 프로그램은 아래 주소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공식 홈페이지 | http://www.ngii.go.kr/
상단 메뉴에서 '자료마당'을 선택하고,
'공개자료실 > 프로그램'에서 7번 글 '수치지도 활용 S/W 업데이트 공개'를 선택합니다.
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zip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아래와 같은데요, 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20110822.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를 진행합니다.
바탕화면에 '수치지도 활용 소프트웨어' 바로가기가 자동 추가됩니다. 실행해볼까요?!
해당 프로그램은 NGIMap 1.0 (공개버전)입니다.
상단 메뉴에서 '파일 > 열기'를 선택하고,
수치지도 2.0 NGI 포맷을 열어보겠습니다.
자, 아래와 같이 수치지도 2.0 NGI 포맷이 추가되었습니다.
확대해본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NGI 포맷을 SHP 포맷으로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단 메뉴에서 '포맷 변환 > 다중 포맷 변환'을 선택합니다.
다중 포맷 변환 창에서 NGI >> xxx를 선택하고 SHP(수치지도)를 지정합니다.
변경이 완료되면 기존 NGI 포맷명과 동일한 폴더가 새로 생성됩니다.
해당 폴더에 아래와 같이 변환된 SHP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간단하죠?!
SHP 파일에 *.prj 포맷이 없으므로 현재 투영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SHP 파일의 확장자별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shp: 지오메트리 저장
- shx: 지오메트리 인덱스 저장
- dbf: 어트리뷰트 저장
- prj: 좌표계정보 저장
- cpg: 어트리뷰트 코드페이지 저장
자, 이제 QGIS 상단 메뉴에서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를 선택하거나
Manage Layers Toolbars에서 '벡터 레이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벡터 레이어 추가' 창에서 탐색 버튼을 클릭하고,
SHP 포맷 폴더를 열어보면 *.shp, *.shx, *.prj가 모두 표시되어 다소 복잡해 보입니다.
이 때 '모든 파일 > ESRI Shape 파일 (*.shp, *.SHP)'을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이 *.shp, *.shx, *.dbf 파일이 SHP 파일 하나로 인식되어 보여집니다.
분류그룹은 건물, 지형지물은 각각 건물(B0010000), 담장(B0020000)인 데이터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좌표계 선택' 창이 뜹니다. 왜 그럴까요?! 이 데이터들은 현재
투영법 정의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EPSG:5186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수치지도 2.0을 QGIS에서 열어봤습니다. 어렵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