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웹 지도를 이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들을 학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에서,
OpenLayers 플러그인을 검색 및 설치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웹 > OpenLayers plugin' 하단 메뉴를 통해 아래 25종 웹 지도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OpenStreetMap (2) | https://www.openstreetmap.org/
- Google Maps (4) | https://maps.google.com/
- Bing Maps (3) | https://www.bing.com/maps
- OSM/Stamen (4) | http://maps.stamen.com/
- Wikimedia Maps (2) | https://maps.wikimedia.org/
- OSM/Thunderforest (9) | https://www.thunderforest.com/
- Apple Maps (1) | https://www.apple.com/ios/maps/
'웹 > OpenLayers plugin > Google Maps > Google Streets' 지도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Google Streets 웹 지도가 Layers Panel에 추가되었습니다.
건물 폴리곤 명을 우클릭하고 '레이어 영역으로 확대'해 보겠습니다.
건물 폴리곤과 Google Streets 웹 지도가 제대로 중첩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Streets 웹 지도의 레이어 좌표계는 EPSG:3857입니다.
이 때 프로젝트 좌표계는 웹 지도의 레이어 좌표계와 일치해주도록 합니다.
이번에는 OSGeo 한국어지부 이민파님이 개발하신 'TMS for Korea' 플러그인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TMS for Korea 플러그인은 24종 웹 지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NGII Maps (5) | http://emap.ngii.go.kr/openapi/mapApiGuid.do
- Daum Maps (5) | http://apis.map.daum.net/
- VWorld Maps (4) | http://dev.vworld.kr/dev/v4dv_apiuse_s001.do
- Naver Maps (5) | https://navermaps.github.io/maps.js/
- Olleh Maps (5) | http://map.ollehmap.com/olleh/
아래와 같이 OpenLayers Overview 패널이 추가되는데요, Enable map을 체크하고 원하는 웹 지도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콤보박스에서 Daum Hybrid를 선택하고 '래스터 레이어 추가' 버튼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Daum Hybrid 지도가 추가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좌표계는 Daum Hybrid 지도의 레이어 좌표계 EPSG:5181로 설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