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온도지도 제작에 관한 방법을 학습해 보겠습니다.
일단 앞서 가공한 도서관, 작은 도서관 쉐이프파일을 하나로 병합합니다.
'벡터 > 데이터 관리 도구 > 여러 Shape 파일들을 하나로 결합'을 클릭합니다.
'Shape 파일 결합' 창에서,
'폴더에서 레이어로 선택'을 체크하고 2개 쉐이프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아래와 같이 2개 쉐이프파일이 하나로 결합되었습니다. 각 점은 서울시 도서관의 위치를 나타내는데요, 이것을 온도지도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병합한 쉐이프파일 명을 우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스타일에서 '온도지도'를 선택하고,
원하는 온도지도 색상을 선택해줍니다.
뒤집기를 클릭하시면 색상표의 좌우 색상이 반대로 바뀌게 됩니다.
온도지도 스타일을 적용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와 같이 별도 래스터를 생성하지 않고도 온도지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앞서 학습한 TMS for Korea 플러그인을 통해 VWorld Gray 웹 지도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온도지도의 레이어 투명도는 20으로 조정합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온도지도를 별도의 래스터 파일로 생성해 보겠습니다. 화면 상단에서 '래스터 > 온도지도 > 온도지도'를 클릭합니다.
온도지도 플러그인 실행 창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이때 반지름은 입력 점 레이어의 좌표계 단위(layer units)를 따릅니다.
결과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온도지도 래스터에 스타일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스타일에서 랜더(Render) 유형은 '단일 밴드 가상색채'를 선택하고, 원하는 색상표를 선택한 후 '분류'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투명도는 20%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온도지도 래스터 스타일 적용 결과입니다.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 저장 시에는 화면 상단에서 '프로젝트 > 저장'을 실행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