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구역정보에서 SHP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분에서 '전체데이터'를 선택하고 조회한 결과에서 최근 생성된 SHP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겠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하시면 아래와 같이 3개 폴더가 있습니다:
- SIG(시군구)
- EMD(읍면동)
- LIO(리)
여기서는 읍면동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를 열어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법정구역정보의 좌표계는 Bessel 타원체 기반의 EPSG:5174인데요, 이것은 WGS84 간 타원체 변환계수를 제공하지 않는 좌표계 변환 문제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OSGeo 한국어지부에는 아래 2개 글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 한국 주요 좌표계 EPSG코드 및 proj4 인자 정리. OSGeo 한국어지부 장병진 님. | http://www.osgeo.kr/17
- QGIS에서 타원체 변환 계수를 포함시켜 좌표계 설정하는 방법. OSGeo 한국어지부 신상희 님. | http://www.osgeo.kr/146
이후 내용은 위 OSGeo 한국어지부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상단 메뉴에서 '설정 > 사용자 정의 좌표계'를 클릭합니다.
아래 '사용자 정의 좌표계 정의' 창에서,
아래와 같이 이름과 매개변수를 입력하여 5174WithWGS84Para 좌표계를 등록합니다.
생성한 사용자 정의 좌표계를 법정구역정보 읍면동 데이터에 정의합니다.
좌측 그림은 기존 좌표계, 우측 그림은 타원체 변환 매개변수가 적용된 좌표계입니다. 차이가 뚜렷하죠?!
이렇게 좌표계가 정의된 법정구역정보 데이터에서 서울시 지역만 추출해 보겠습니다.
법정구역정보의 속성테이블을 보시면 A1 필드가 있는데요, 서울시는 앞 2자리가 11입니다.
'표현식을 이용해 객체 선택'을 클릭하고,
표현식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 줍니다.
선택한 객체는 아래와 같습니다.
'선택 항목으로 확대'해 볼까요?!
선택된 객체를 별도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때 '선택된 객체만 저장'을 반드시 체크하도록 합니다.
아래와 같이 서울시 법정구역정보(읍면동) 데이터가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서울시 구역별 도서관 개수를 구하는 통계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벡터 > 분석 도구 > 폴리곤의 점'을 클릭합니다.
입력 폴리곤은 서울시 읍면동 폴리곤, 입력 점은 도서관 포인트를 지정합니다.
Total_Lib라는 이름의 필드에 폴리곤 내 점 총합이 입력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속성 테이블에 입력된 구역 통계를 가시화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이어 속성에서 '스타일 > 단계 구분'을 선택합니다.
컬럼에 Total_Lib를 지정하고 아래와 같이 설정해 주겠습니다. 현재 클래스 모드는 등간격, 클래스는 5개입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대값 지역은 뚜렷하지만 5개 클래스가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히스토그램을 보면 등간격이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드를 내추럴 브레이크 (Jenks)로 변경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꽤 괜찮은 데이터 지도(data map)를 그려주는 Natural Breaks란? | http://gisutd.tistory.com/7
모드를 변경하여 스타일 적용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