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QGIS에서 등고선 기반 DEM을 제작하고, 관심 영역 내 최고 표고점을 탐지(포인트로 추출)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습용 등고선 자료는 경기도 안양시의 1:5,000 수치지도 6도엽(통합코드(등고선): F0010000)을 전 처리하여 준비하였습니다.
등고선 속성 테이블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필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한글 깨짐은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필드는 등고수치로 이 값을 사용하여 DEM을 제작해 보겠습니다.
QGIS는 공간 보간(spatial interpolation) 목적으로 널리 쓰이는 '역거리 가중(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과 '불규칙 삼각망(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TIN)' 기법을 모두 지원하고 있는데요, 여기서는 '공간 처리 툴박스 > 보간 > TIN 보간'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공간분석(보간): https://docs.qgis.org/3.22/en/docs/gentle_gis_introduction/spatial_analysis_interpolation.html
'TIN 보간' 실행 창은 다음과 같은데요,
벡터 레이어는 등고선, 보간 속성값은 등고수치를 선택하고, 입력 레이어 목록(유형: 포인트)에 추가해 줍니다.
보간 방법은 선형, 범위는 등고선 레이어 선택, 산출 래스터 크기에서 픽셀 크기 X와 Y는 10m로 지정해 주겠습니다. 보간 산출물 파일 지정 후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등고선을 기반으로 TIN 보간 결과가 산출되었습니다!
이번엔 아래 특정 구역(원형 버퍼) 내에서 최대 고도점이 어디인지 탐지(포인트로 추출)해 보겠습니다.
해당 기능은 '공간 처리 툴박스 > SAGA > Features - Features-Raster Tools > Raster Values to Points'를 사용합니다.
Raster Values to Points 실행 창에서 Grids는 TIN 보간 DEM 산출물을, Polygons은 원형 버퍼를, Type은 [0] nodes를 선택한 후 Shapes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Shapes 산출물에서 속성 테이블을 열고 FCTOURDEM 수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고도값이 가장 높은 포인트를 선택한 후,
'Shapes (오른쪽 마우스 클릭) > Export > 선택한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통해 해당 포인트를 추출합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