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RS: Geoscience, GIS, and Remote Sensing

지구과학, GIS, 그리고 원격탐사 블로그입니다.

REMOTE SENSING 199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6) - 지도 제작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마지막 글로 그간 분석한 결과물을 지도로 제작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5) - 임상도를 이용한 공간통계 산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다섯번째 글로 임상도를 이용한 공간통계 산출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 blog.daum.net 지도 제작을 위해 '프로젝트 > 새 인쇄 조판'을 실행합니다. 조판 인쇄 생성 창에서 '조판 인쇄 제목'을 입력합니다. 인쇄 조판 오른쪽을 보면 '조판(layout)', '항목 속성', '안내..

REMOTE SENSING 2022.04.10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5) - 임상도를 이용한 공간통계 산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다섯번째 글로 임상도를 이용한 공간통계 산출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4) - dNBR-임상도 교차 영역 산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네번째 글로 dNBR과 임상도(1:5000) 교차 영역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 blog.daum.net 공간통계는 Python 프로그래밍으로 처리하려고 하는데요, 이를 위해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를 먼저 추출해 보겠습니다. 앞서 실습을 통해 산출한 dNBR.g..

REMOTE SENSING 2022.04.09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4) - dNBR-임상도 교차 영역 산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네번째 글로 dNBR과 임상도(1:5000) 교차 영역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산출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3) - 피해면적 산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세번째 글로 dNBR로부터 산불피해 면적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log.daum.net 먼저, dNBR을 레이어 추가합니다. dNBR을 벡터로 변환한 후, 일부 영역을 제거해 보겠습니다. '공간 처리 툴박스 > GDAL > 래스터 변환 > 폴리곤화(래스터를 벡터로)'를 실행합니다. '편집 모드..

REMOTE SENSING 2022.04.09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3) - 피해면적 산정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세번째 글로 dNBR로부터 산불피해 면적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2) - 처리 단계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두번째 글로 NBR 계산, dNBR 계산, 영상 잘라내기 처리 단계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글은 아래 링크를 blog.daum.net 참고로, 산불 피해면적 산정방법은 '산림청 산불관리통합규정 [별표 3] 산불발생 및 피해보고 요령(제33조제1항 관련)'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피해면적 산정은 현장에서 목측 또는 실측에 의하고 목측 또는 실측이 어려..

REMOTE SENSING 2022.04.06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2) - 처리 단계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두번째 글로 NBR 계산, dNBR 계산, 영상 잘라내기 처리 단계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1) - 데이터 준비/전처리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첫번째 글로 데이터 준비 및 전처리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 실습 시리즈는 UN-SPIDER(United Nations Platform for Space-based.. blog.daum.net Normalized Burn Ratio (NBR, 정규산불피해비율) 계산 Normalized Burn Ratio (NB..

REMOTE SENSING 2022.03.27 (3)

QGIS: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1) - 데이터 준비/전처리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Burn Severity(산불피해 심각도) 분석 실습 시리즈 첫번째 글로 데이터 준비 및 전처리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 실습 시리즈는 UN-SPIDER(United Nations Platform for Space-based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and Emergency Response, 재난관리 및 위기대응을 위한 우주기반정보 UN 플랫폼)의 'Step by step: Burn Severity with QGIS (Landsat 8)'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합니다. Step by step: Burn Severity with QGIS (Landsat 8) | UN-SPIDER Knowledge Portal Data Access This..

REMOTE SENSING 2022.03.27 (6)

Landsat Collection 2의 명명 규칙(naming convention) 소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Landsat Collection 2의 명명 규칙(naming convention)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에 앞서 Landsat Collections, Levels, Tiers 개념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Landsat Collections (랜드셋 컬렉션) USGS(U.S.Geological Survey, 미국 지질조사소)는 아카이브에 있는 모든 Landsat 영상을 재처리(reprocessing)하고 있으며, 이를 Collection(컬렉션) 단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기존 Collection 영상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 보관된 모든 영상은 다시 처리되고 새 Collection으로 출시됩니다. 현재는 Collection 1과 Collection 2가 있습니다. Tiers (계층)..

REMOTE SENSING 2022.03.26

Normalized Burn Ratio (NBR, 정규산불피해비율)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Normalized Burn Ratio, 줄여서 NBR(정규산불피해비율)에 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글의 내용은 UN-SPIDER(United Nations Platform for Space-based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and Emergency Response, 재난관리 및 위기대응을 위한 우주기반정보 UN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아래 링크 내용을 우리말로 재정리한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Fire는 산불, Burn은 산불 피해, Severity는 심각도로 번역하였습니다. Normalized Burn Ratio (NBR) | UN-SPIDER Knowledge Portal Fire Intensity versus Burn Severit..

REMOTE SENSING 2022.03.17 (2)

QGIS: DEM 래스터 지형 분석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QGIS의 '래스터 지형 분석' 기능들을 학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래스터 지형 분석을 통해 DEM으로부터 부가적인 래스터 데이터(경사 방향, 경사, 기복도, 음영기복도, 험상 지수 등)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기능은 GDAL gdaldem 유틸리티(https://gdal.org/programs/gdaldem.html)라는 도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gdaldem은 일반적으로 x, y, z 단위가 동일하다고 가정합니다. 만약 DEM이 아래 왼쪽과 같이 지리좌표계로 정의되었다면 x, y는 도(degrees), z는 미터(meters) 단위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축척 적용이 필요합니다. 적도 근처 위치에서는 1도에 해당하는 거리는 111,120m(즉, scale=11112..

REMOTE SENSING 2022.01.06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위성 1호 영상 다운로드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에서 국토위성 1호 영상을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련 기사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토위성 1호' 촬영 고해상도 영상, 일반에도 공개 국토정보플랫폼서 다운로드…12㎞×12㎞ 사진과 영상지도 서비스 국토지리정보원은 올해 3월 발사된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을 27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m.dongascience.com:443 일단 국토정보플랫폼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메인 화면 내 '즐겨찾는 메뉴 > 국토정보영상'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지도 검색 창이 표시됩니다. 그럼 검색 조건을 설정해볼까요?! 영상검색 탭에서 '2021년 11월 1일부..

REMOTE SENSING 202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