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통합관리시스템(P-RIMS) DB를 이용한 국립공원 내 노랑할미새 분포 (1) 국립공원 자원통합관리시스템(Park-Re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MS)은 자연자원조사, 자원모니터링 등 국립공원 구역 내 자원조사 DB를 관리하고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 중 조류 DB를 분석하여 전국 국립공원 별로 노랑할미새(영명: Grey Wagtail, 학명: Motacilla cinerea)의 발견 기록을 지도화.. GIS 2012.08.11
도분초와 십진도 간 변환 공식 1) 도분초를 십진도로 변환 - 십진도 = 도˚ + 분´ / 60 + 초˝ / 3600 2) 십진도를 도분초로 변환 - 도˚ = INT(십진도) - 분´ = INT((십진도 - INT(십진도)) * 60) - 초˝ = (((십진도 - INT(십진도)) * 60) - INT((십진도 - INT(십진도)) * 60)) * 60 - 도˚ 분´ 초˝ = INT(십진도) & "˚ " & TEXT(INT((십진도 - INT(십진.. GIS 2012.04.26
Landsat 열적외밴드를 이용한 지리산국립공원 지표면온도 분포 (2) 2000년 5월 8일 취득된 Landsat 7 위성영상의 열적외 밴드를 이용한 지리산국립공원 지표면 온도 분포입니다. ASTER GDEM Ver.2 자료를 융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REMOTE SENSING 2012.04.26
Landsat 7 영상과 ASTER GDEM을 이용한 지리산국립공원 3차원 영상 이전에 제작한 지리산국립공원 지표면 온도 분포를 3차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 단계입니다. 2000년 5월 8일 취득된 Landsat 7호 위성영상의 Path/Row 115/35, 115/36을 모자이크하고 ASTER GDEM Ver.2와 함께 고도값을 설정하였습니다. GIS 2012.04.24
Landsat 열적외밴드를 이용한 지리산국립공원 지표면온도 분포 (1) Landsat 열적외밴드를 이용하여 처리해 본, 지리산국립공원 지표면온도 분포 결과입니다. REMOTE SENSING 2012.04.20
PDF 파일을 PPT 파일로 변환하는 무료 프로그램 PDF 파일을 PPT 파일로 변환하는 Boxoft사의 PDF to PowerPoint 프로그램입니다(출처: http://www.boxoft.com/pdf-to-ppt/) 다운로드 | setup(free-pdf-to-ppt).exe 무료 버전으로, 편집이 가능한 변환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PDF파일의 각 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PPT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프로그램.. IT 2012.04.18
Landsat 7 ETM+ 열적외 밴드를 지표면 온도로 변환하기 (2) 이번에는 ArcMap에서 Landsat 7 ETM+ 열적외 밴드를 지표면 온도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ArcMap을 실행하고 열적외 밴드에 해당하는 61 또는 62 영상을 레이어 추가합니다. 편의상 열적외 밴드 명은 아래와 같이 B6로 조정하겠습니다. 이제 Spatial Analyst Tools > Map Algebra > Single Output Map Algebra를 실.. GIS 2012.04.11
Landsat 7 ETM+ 열적외 밴드를 지표면 온도로 변환하기 (1) Landsat 7 ETM+ 열적외 밴드를 지표면 온도(Land-surface temperature)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해 보겠습니다. 본 방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Landsat 7 Science Data Users Handbook(http://landsathandbook.gsfc.nasa.gov/)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열적외 밴드를 지표면 온도로 변환하는 과정은 크게 아래와 같은 .. REMOTE SENSING 2012.04.10
EarthExplorer를 이용한 Landsat 위성영상 다운로드 방법 이번에는 Landsat 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는 EarthExplorer 사이트(http://earthexplorer.usgs.gov/)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초기화면이 있습니다. Search Criteria 탭에서 Path/Row 탭을 선택하고, 해당되는 Path, Row값을 입력합니다. Show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 REMOTE SENSING 2012.04.04
미국 지열 발전 포텐셜(US Geothermal Power Potential) 지도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지열 연구실(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 Geothermal Laboratory)에서 제작한 미국 지열 발전 포텐셜(US Geothermal Power Potential) 지도입니다. 출처: http://www.treehugger.com/renewable-energy/united-states-geothermal-power-potential-10-times-coal-power-plants.html 지도에 적용된 RGB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 REMOTE SENSING 2012.04.04